728x90
SMALL
정원도시(Garden City) 개념은 19세기 말 영국의 사회개혁가 에벤에저 하워드(Ebenezer Howard)가 제안한 도시 계획 이론입니다. 그의 책 "Tomorrow: A Peaceful Path to Real Reform" (1898년, 후에 "Garden Cities of To-morrow"로 재발행)에서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하워드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초래한 문제들, 특히 과밀화와 빈곤, 건강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도시를 제안하였습니다. 그의 비전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평화로운 공동체를 구현하는 것이었습니다.
정원도시의 핵심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기 충분성: 각 정원도시는 최대 32,000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으며, 주거지, 상업지 및 산업지가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 그린벨트: 각 도시는 농장으로 둘러싸인 그린벨트에 의해 다른 도시와 분리되어야 합니다.
- 도시 네트워크: 정원도시들은 교통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이 네트워크를 통해 인구 및 자원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주거 및 일터 근접성: 주거지와 작업장소는 가깝게 위치하여 출퇴근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 중앙 집중적 계획: 정원도시는 중심부에서 방사형으로 발전하며 중심부에는 대중 교통 시설이 위치합니다.
첫 번째 실제 정원도시인 렛치워스(Letchworth)는 1903년 영국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후 월든(Welwyn) 등 여러 정원 도시들이 창설되었습니다.
그러나 하워드의 비전이 완전하게 실현된 것은 아니며 현재까지 많은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비용, 효율성, 지속 가능성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일부는 정원 도시 개념이 교외화를 촉진하고 도시의 분리를 초래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원도시 이론은 도시 계획과 디자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신도시 계획 및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에서 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LIST
'도시 및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계획에서 자연 친화적인 디자인이 중요한 이유 | wrtn.ai (0) | 2023.10.19 |
---|---|
현재 도시계획 트렌드 | wrtn.ai (0) | 2023.10.19 |
정원도시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시가 어디에 있는지 알려줘 (0) | 2023.10.19 |
그린벨트란 무엇인가? | wrtn.ai (0) | 2023.10.19 |
1950년대 이전 도시계획 | wrtn.ai (0) | 2023.10.19 |